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파블로프와 조건반사,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능, 주요 현상 무더운 여름이 가고, 가을 청명한 하늘처럼 밝은 내일을 꿈꾸며, 소개해드릴 오늘의 주제는 파블로프와 조건반사,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능과 그에 따른 주요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파블로프와 조건반사 고전적 조건형성에 관한 연구는 20세기 초 소화과정을 연구하던 러시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Pavlov)의 실험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개의 침샘에 연결된 관을 사용하여 개의 침분비 현상이 먹이가 입에 들어오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반사적인 반응임을 입증했다. 그런데 실험이 진행되면서, 이상 현상이 발생했다. 그것은 개가 입속에 먹이가 있을 때뿐 아니라 먹이가 담겨 있는 그릇을 볼 때에도, 또 먹이를 주곤 하던 실험자의 모습만 보아도 침을 흘리기 시작했던 것이다. 나중에는 실험자가 실험실 문을 여는 소리만 .. 2023. 10. 10.
심리의 이해 지각, 깊이 및 거리 지각, 방향 및 움직임 지각, 착시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는 우리는 지각에 대해서 알아가고 있다. 오늘은 지각의 특성 3가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한다. 생명을 보전하기 위해서 주변 대상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거리와 깊이, 그리고 방향과 그것의 움직임, 그리고 공포감으로 인한 착시현상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깊이 및 거리 지각 우리의 시각 체계는 여러 가지 단서들을 이용하여 깊이를 지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깊이 지각에 이용되는 단서에는 양안 단서와 단안 단서가 있는데, 두 눈이 약간의 수평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단서를 양안 단서(binocular cues), 한 눈만으로도 이용 가능한 단서를 단안 단서(monocular cues)라 한다. 양안 단서는 깊이 지각에 .. 2023. 8. 17.
심리학의 이해 지각, 지각 조직화, 집단화 원리, 전경-배경 분리 오늘은 지각에 대해 그중에서 모양 지각에 해서 나누어보려고 한다. 지각은 감각기관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깨어 있을 때, 그리고 이것은 주의집중의 기능으로 주변에 산재한 수많은 자극 중 중요한 것을 선별하는 일과 선별된 신호 속에 담긴 정보의 처리를 촉진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모양 지각에 대해 알아보겠다. 지각 조직화 주의집중을 통해 관심 대상이 선정된다면, 그 대상을 구성하는 요소를 보다 큰 단위로 묶는 작업이 전개되는데, 이 과정을 지각 조직화(perceptual organi-zation)라 한다. 우리의 지각 체계는 감각과정에서 분석해 낸 단위 요소를 집단으로 묶어 내는 조직화 작업을 통해 시야에 펼쳐진 물체의 모양(form)을 구축해 낸다. 대표적인 학.. 2023. 8. 16.
심리학 공부를 위한 청각기관, 소리, 귀, 음고 변별 심리학을 위해 오늘은 청각기관에 대해서 말하려고 한다. 우리가 무서운 영화를 볼 때 귀를 막으면 무서운 느낌이 많이 줄어든다. 이 것만으로도 우리 생활에서 청각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청각 경험이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과정만이라도 알고 있는 것이 심리학도의 목적인 인간 행동 및 정신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소리 청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자극을 소리라고 한다. 소리라는 물리적 에너지는 대게 성대나 첼로의 현 같은 물체의 진동에서 생겨난다. 물체가 진동을 하면 그 물체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내 공기 분자의 밀도가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하게 되는데, 공기 분자의 반복적 밀집과 분산을 소리 또는 음파(soud wave)라고 한다. 공기 분자의 밀.. 2023. 8. 14.
심리학의 이해를 위한 시각기관, 빛과 눈, 망막, 시각피 심리학의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오늘은 감각기관에 대해서 나눠보려고 한다. 우리는 주변 환경의 물리적 변화를 탐지하는데 필요한 다섯 가지의 감각기관을 가지고 태어났고, 이들 감각기관은 각각 상이한 물리적 변화 또는 자극을 탐지하도록 특화되어 있다. 오늘은 그 중 시각 기관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한다. 빛과 눈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라는 에너지 중 그 파장이 약 390nm에서 760nm사이에 속하는 것을 빛(가시광선)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우주선, 감마선, 엑스선 같이 그 파장이 빛의 파장보다 짧은 거도 있고, 라디오파, TV파, 초단파처럼 그 파장이 빛의 파장보다 긴 것도 있다. 그러나 우리의 시각 체계는 빛의 파장보다 길거나 짧은 전자파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우리가 여러 가지 색깔.. 2023. 8. 14.
신경계의 구성,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 그전 알아본 뉴런의 기본 이후 오늘은 신경계의 주요 기능들인 감각과 지각, 학습, 기억 등은 단일 뉴런의 행동이 아닌 많은 뉴런 간의 상호작용에서 생겨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경계가 해부학적으로 어떤 구조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조직화되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오늘은 신경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말초 신경계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체성신경계는 우리 몸에서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신경과 우리 몸의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체성신경계는 대체적으로 우리의 생각대로 통제할 수 있는 수의근(voluntary muscle)으.. 2023. 8. 14.
뉴런의 기본 형태 및 작동, 다른 뉴런으로의 전달, 신경전달물질의 작용 생물심리학(biological psychology)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물학적인 요인을 찾아내고 분석하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정신활동 전체를 신경 세포의 활동으로 환원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때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에 대해 오늘은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한다. 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여러 세포 중 행동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포이다. 뉴런의 기본 형태 및 작동 뉴런은 인체의 여러 세포 중 가장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지닌다. 엄지발가락 끝에서 척수로 감각을 전달하는 감각뉴런은 그 길이가 거의 1미터에 달하지만 소뇌의 과립세포(granule cell) 같은 경우는 몇 마이크론 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이러한 다양한 뉴런도 공통된 기본 구조를 갖는데, 수상돌기(dendrit.. 2023. 8. 9.
심리학 연구 방법, 기술적 연구 방법, 상관법, 실험법 행동의 원리를 밝히려는 심리학 연구에서는 어떤 과학적 접근 방법을 응용하는 것이 좋을까? 우선 찾아낸 행동의 원리가 과학적 요건에 부합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연구하려는 행동을 비롯한 모든 과학적 현상은 관찰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검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 동일한 상황에서 반복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곧 심리학이 관찰이나 검증 드의 객관성을 토대로 한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서 나눠보고자 한다. 기술적 연구 방법 기술적 연구 방법(descriptive research methods)은 관찰(observation)을 토대로 어떤 현상이나 행동에 대해서 전후 배경을 단순히 묘사하는 방법이다. 만약 이 방법에 의해서 얻은 결과를 단순한 묘사 .. 202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