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26 인간 언어의 발생, 자연 선택, 성도의 진화, 피진어와 크리올어 인간의 언어가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최근의 일부 연구자는 인간 언어의 발생과 별화를 진화론적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번에는 진화심리학적으로 언어의 발생을 설명하는 입장의 주요 개념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모든 문화권에서 인간은 나름대로의 언어를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자연선택 최근의 일부 연구자는 인간이 언어로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것은 본능이고 언어의 근원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과학적 설명은 자연석택이라고 주장한다. 진화에서 유기체의 구성 요소가 어떤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설계되었을 때에 적응적 복잡성을 가진다. 핑커와 블룸은 이러한 적응적 복잡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자연선택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척추동물 눈의 진화를 대표적인 예로 든다. 척추동물의 눈.. 2023. 10. 17. 기억을 잘하는 방법 이제까지 기억과정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기억 현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런 지식들을 통해 기억을 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억 향상 전략은 관련된 정보와 연결하거나 조직화하게 해서 부호화를 잘하게 하는 방법들입니다. 기억해야 할 항목이 내가 알고 있는 내용과 큰 관련이 없고 그 항목 간에도 연관성이 별로 없는 경우에는 언어나 심상을 이용한 체제화를 이용하는 방안이 많이 권장되고 있다. 기억술로 알려진 대부분의 방법이 이에 속한다. 반면에 기억해야 할 정보 간에 나름대로 연관성이 있는 경우에는 정교화와 조직화를 시도하여 부호화를 잘하게 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언어를 이용하는 체제화 방법으로는 익숙한 노래를 이용해서 첫 글자를 외우는 방법,.. 2023. 10. 16.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비교, 자유회상 계열 위치효과 연구, 해리현상 이번에는 두 가지 기억들을 비교해보고자 하는데, 정보처리의 부호화, 저장, 인출 단계에서 다른 처리 특징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데, 이 둘을 하나의 기억이라고 볼 수 없는지 오늘은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한다. 자유회상 계열 위치 효과 연구 단기기억은 장기기억으로 부화화되기 전의 기억이거나 장기기억에서 활성화된 정보이기 때문에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은 같은 기억인데 단지 활성화 정도가 다를 뿐이라는 주장이 가능하지 않을까? 여러 가지 증거는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은 질적으로 다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하나는 자유회상에서의 계열 위치 효과에 관한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기억 상실증 환자를 통해 얻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해리 현상(dissociation)이다. 관련이 없는 단어들로 만든 목록에서 단어들을 하.. 2023. 10. 13. 장기기억 부조화와 파지, 조직화와 인출, 도식과 기억 장기기억은 지속 시간이 긴 기억으로, 지속 시간뿐만 아니라 부화화 단계나 인출단계에서 단기기억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 현상적으로도 장기기억은 자각과 관련이 적다. 지금부터 장기기억의 부조화와 파지, 조직화와 인출, 그리고 도식과 기억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보고자 한다. 부조화와 파지 어떤 단어가 특정 문장에 적합한지와 같은 의미 처리를 하는 경우 그 단어는 다른 정보와 연결되는데, 이렇게 다른 정보와 연결되는데, 이렇게 다른 정보와 연결하는 것을 정교화라고 하는데, 동시에 주어지는 다른 정보와 연결하는 정교화뿐만 아니라 자기가 알고 있는 다른 정보와 연결하는 정교화 처리도 기억에 도움이 된다. 정교화 처리를 하게 되면 부화화가 잘 될 뿐만 아니라 그 정보를 직접 인출하지 않더라도 관련된 다른 정보를 .. 2023. 10. 12.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