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26 신경계의 구성,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 그전 알아본 뉴런의 기본 이후 오늘은 신경계의 주요 기능들인 감각과 지각, 학습, 기억 등은 단일 뉴런의 행동이 아닌 많은 뉴런 간의 상호작용에서 생겨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경계가 해부학적으로 어떤 구조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조직화되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오늘은 신경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말초 신경계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체성신경계는 우리 몸에서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신경과 우리 몸의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체성신경계는 대체적으로 우리의 생각대로 통제할 수 있는 수의근(voluntary muscle)으.. 2023. 8. 14. 뉴런의 기본 형태 및 작동, 다른 뉴런으로의 전달, 신경전달물질의 작용 생물심리학(biological psychology)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물학적인 요인을 찾아내고 분석하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정신활동 전체를 신경 세포의 활동으로 환원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때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에 대해 오늘은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한다. 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여러 세포 중 행동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포이다. 뉴런의 기본 형태 및 작동 뉴런은 인체의 여러 세포 중 가장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지닌다. 엄지발가락 끝에서 척수로 감각을 전달하는 감각뉴런은 그 길이가 거의 1미터에 달하지만 소뇌의 과립세포(granule cell) 같은 경우는 몇 마이크론 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이러한 다양한 뉴런도 공통된 기본 구조를 갖는데, 수상돌기(dendrit.. 2023. 8. 9. 심리학 연구 방법, 기술적 연구 방법, 상관법, 실험법 행동의 원리를 밝히려는 심리학 연구에서는 어떤 과학적 접근 방법을 응용하는 것이 좋을까? 우선 찾아낸 행동의 원리가 과학적 요건에 부합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연구하려는 행동을 비롯한 모든 과학적 현상은 관찰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검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 동일한 상황에서 반복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곧 심리학이 관찰이나 검증 드의 객관성을 토대로 한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서 나눠보고자 한다. 기술적 연구 방법 기술적 연구 방법(descriptive research methods)은 관찰(observation)을 토대로 어떤 현상이나 행동에 대해서 전후 배경을 단순히 묘사하는 방법이다. 만약 이 방법에 의해서 얻은 결과를 단순한 묘사 .. 2023. 8. 8. 심리학의 관점, 정신역동학적 관점, 생물학적 진화론적 관점, 인본주의 관점 심리학에 대한 관점은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처럼 철학적 부분에서의 독립 또는 다시 철학으로의 회귀, 그뿐 아니라 행동과학으로서 사회학이나 인류학과도 매우 관련성이 크다. 또한 근래에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다양한 관점이 발전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부각되는 4가지 관점에 대해서 오늘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정신역동학적 관점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자유연상이나 꿈의 분석과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치료기법을 고안했는데, 이를 정신분석(psychoanalysis)이라고 부른다. 그의 정신분석이론에 의하면, 인간 행동은 내적으로 강한 심리적 힘에 의해서 움직이고 동기화된다. 행동 기저에 있는 그 심리적 힘이란 선천적인 본능이나 욕구 등을 의미하며, 프로이트는 이것을 체계.. 2023. 8. 7. 이전 1 2 3 4 5 6 7 다음